지자체에서는 블록체인,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을 구축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기업 및 기관에서는 신기술 관련 기술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실용화 가능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금융, 의료, 물류,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서울시가 인공지능 기술 확산에 발맞춰 교통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개발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교통 데이터 수요조사를 4월 30일까지 실시한다.
교통 데이터가 넓은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인공지능 및 교통 분야를 포함한 산업, 학계, 연구기관, 시민 등이 신청할 수 있다.
서울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대중교통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방대하고 품질 높은 교통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서울교통빅데이터 플랫폼’,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공공데이터포털’ 등에서 버스·지하철 승하차 승객수, 교통 시설 정보, 교통 속도 등 주요 정보를 시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번 수요조사를 시작으로 AI 학습과 알고리즘 개발에 적합한 데이터 제공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그간 수치 등 통계 중심의 정형 데이터가 주로 제공됐던 것에서 더 나아가 다양한 개발 수요에 맞춘 시계열 데이터 및 비정형 데이터 등으로 폭을 넓혀 나간다.
이번 조사는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부터 시민 개발자까지 다양한 수요자 의견을 반영해 AI 모델 학습 및 알고리즘 개발 등에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통 데이터의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 개방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추진된다.
현장 수요에 맞춰 인공지능 산업과 연구과정 등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들이 제공됨에 따라, 향후 인공지능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인공지능 시대에 공공기관이 선제적으로 데이터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수요조사를 통해 서울시가 데이터 기반 도시 혁신을 이끌고,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