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에서는 직원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신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실무 중심의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챗GPT(ChatGPT) 기술이 활성화를 보이면서 관련 서비스를 행정 업무에 도입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각종 민원 및 상담 업무를 실시간으로 제공, 신속한 행정 서비스 구현에 앞장서고 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 용산구가 업무 효율성 강화를 위해 10월 1일부터 2개월간 챗GPT 기반의 직원 맞춤형 인공지능(AI) 업무 플랫폼 ‘용산GPT’를 시범 운영한다.
이번 플랫폼은 반복적인 민원 응대와 보도자료 작성 등으로 인한 직원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문서 작성·실시간 정보 검색·데이터 분석 기능을 활용해 행정 전반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전 직원이 생성형 AI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AI 행정 역량을 선제적으로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부 직원이 개별적으로 AI 서비스를 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내부 문서 및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차단하기 위해 철저한 보안 대책을 마련했다.
‘용산GPT’는 업무 성격과 필요에 따라 챗GPT-5(ChatGPT-5), Perplexity(퍼플렉시티), 클로드(Claude), 딥엘(DeepL) 등 다양한 AI 모델이 한 플랫폼에서 연동 및 실행된다.
이를 통해 ▲공문서·보고서·홍보문 초안 작성 ▲반복 민원 답변 ▲회의록 작성 ▲대규모 자료 분석·요약 등 행정 업무 전반을 지원한다.
보안 측면에서도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 금칙어를 설정하고, 사내 IP 접속만 허용했다. 업로드 파일 내 개인정보를 자동 마스킹하는 기능을 적용했다.
이번 ‘용산GPT’ 도입이 단순 업무 자동화를 넘어 문서 작성 지원, 민원 처리 지원 등 내부 행정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개월간의 시범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사항과 보완점을 반영해 내년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이번 ‘용산GPT’ 도입으로 행정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직원들의 반복적·소모적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시범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보완점을 충분히 점검해 내년도 정식 도입 시에는 보다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행정 지원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