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신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술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용자들에게 여러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을 활용해 각종 시범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힘쓰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기업 간 협력 체계 구축은 시너지를 높이고 있다. 한편, 경상남도는 ‘생성형 AI 기반 통합복지 플랫폼 구축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간다.
보고회에는 김영선 경남도 복지여성국장을 비롯해 도 및 18개 시군 관계자, 수행기관인 솔트룩스 컨소시엄(솔트룩스·다이퀘스트·아이웍스)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용역 추진 계획 보고와 함께 현장 의견수렴이 진행됐다.
이번 사업은 경남도민의 복지 서비스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복지행정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분산된 복지 정보를 통합하고 맞춤형 상담이 가능한 ‘경남형 통합복지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플랫폼이 구축되면 도민은 문자나 음성으로 본인의 연령·가구상황·소득 수준 등에 맞는 복지 서비스를 인공지능을 통해 추천받을 수 있게 되어 필요한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당초 2025년 통합복지포털, 2026년 복지 특화 생성형 AI 시스템 등 2개년 단계로 구축할 계획이었으나,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서 도비 12억 원을 추가 확보함에 따라 일정을 앞당겨 통합 추진하게 되었다.
주요 사업내용은 ▲생성형 AI 기반 복지상담(문자·음성) 시스템 구축 ▲복지 특화 대규모 언어모델(LLM) 적용 ▲복지 서비스 통합 포털 구축▲RAG(검색증강생성) 기반 지식관리시스템 구현 ▲생성형 AI 시스템 운영 인프라 구축(GPU서버, 클라우드) 등이다.
경남도는 이번 플랫폼 구축을 통해 복지정책 전달 체계를 효율화하고, 복지 상담 및 민원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등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구축된 데이터와 API를 민·관·학에 개방해 예산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복지연구·정책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김영선 경남도 복지여성국장은 “복지정보가 여러 기관에 흩어져 접근이 어려운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생성형 AI 기술을 도입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도민이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복지 서비스를 찾고 상담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